Everipedia Logo
Everipedia is now IQ.wiki - Join the IQ Brainlist and our Discord for early access to editing on the new platform and to participate in the beta testing.
디파이

디파이

기존의 중앙화된 금융에서, 사용자는 그 회사를 믿어야 한다.

디파이에서, 사용자는 그 프로토콜을 믿어야 한다.

(#CeFi - you have to trust to the company #DeFi - you have to trust to the protocol)[39][40]

**디파이(DeFi)**은 Decentralized Finance의 줄임말로, 기존의 중앙화된 금융시스템의 대안이 되는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전반을 말한다. 탈중앙화 화폐(암호화폐)와 시스템(블록체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등을 이용해 중개자를 최소화한 투명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수수료를 줄이는 등의 금융혁신이 가능하며, 보다 많은 이들이 금융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1][2][3][38]

개요

디파이는 기본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예: 이더리움, 이오스, 트론 등)에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작동하는 금융 서비스이다. 기존의 금융 서비스에서 일어나는 여러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한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에 대한 투자,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1]

특징

탈중앙화, 검열저항성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설계한 동작을 자동 실행하는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모든 서비스가 이루어지며, 어떤 주체가 이 과정에 개입해 조작할 수 없다.[43]

개방성, 상호 운용성

오픈 소스 방식으로 운영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특성상 다른 프로젝트들과의 협업과 서비스 연동이 편리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43]

그러나 다른 서비스의 스마트 계약에 연동함으로써 합성 보안(Compositional Security) 문제가 일어나게 된다.[56]

접근성, 무허가성

기존의 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여러 절차, 허가 없이 블록체인 계정의 소유권과 그에 따른 권한행사 만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43][47]

투명성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모든 거래내역이 기록되며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효율성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금융 서비스와 비교해 비용,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현재 금융권에서 국가간 송금에는 약 5% 수수료, 1~2일이 소요되는 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디파이는 훨씬 저렴하고 빠르다.[47]

종류

담보대출(lending)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 서비스를 제공.

메이커다오, 컴파운드, 아베, 달마, 블록파이, 비거 프로토콜

디파이 담보대출 플랫폼이 얼마나 탈중앙화되었는지를 6가지 조건(수탁, 가격 피드, 강제 청산, 유동성 공급, 이율, 개발) 결정 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36][53]

스테이킹(Staking)

암호화폐를 블록체인에 예치, 블록 검증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음.

클레이스테이션

파생상품(Derivatives)

암호화폐를 기초자산으로한 선물, 옵션, 마진 등의 파생상품

신세틱스, dYdX, UMA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

암호화폐 지갑을 탈중앙화 거래소에 직접 연동해 온체인으로 토큰을 거래.

유동성 공급자(liquidity provider)로서 유동성 풀에 암호화폐 쌍을 동일하게 예치하여 일정 수수료를 받고, 사용자는 자동화 마켓 메이커의 수식에 따라 토큰을 교환할 수 있는 스왑 모델(유니스왑)이 등장하였다. 유동성 풀에 암호화폐 비율을 자유롭게 예치하거나(발란서), 하나의 암호화폐만으로도 예치할 수 있는 서비스, 새로운 자동화 마켓 메이커 수식을 적용하여 리스크(비영구적 손실 등)를 줄인 서비스(도도) 등이 등장하였다.

해당 서비스가 자체 토큰을 발행하여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이자 농사를 제공하는 서비스(컴파운드, 스시스왑)가 등장하였다.

여러 탈중앙화 거래소를 모아 최적의 거래를 할 수 있는 애그리게이터 서비스(1인치), 최적의 이자 농사를 할 수 있는 애그리게이터 서비스(APY 파이낸스)등이 등장하였다.

유니스왑, 컴파운드, 스시스왑, 1인치, 발란서(디파이), 도도, 카이버 네트워크, 제로엑스, 뉴덱스, 피클 파이낸스, 이파이 파이낸스, 저스트스왑, APY 파이낸스, 하비스트 파이낸스(디파이), 퀀타(거래소), 이오스파이넥스, 돌핀스왑, 디파이박스

세컨드 레이어

자산토큰화(STO)

부동산, 미술품 등의 실물 자산 토큰화.

카사

대체불가토큰(NFT)

암호화폐 지갑

메타마스크, 토큰 포켓

결제

크립토닷컴, 오미세고

예측시장

어거, 프레딕트, 폴리마켓, 캣닙

보험

넥서스 뮤추얼, 커버 프로토콜

역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파이(DeFi)는 2017년 말에서 2018년 초에 시작되었다.

펠릭스 펑(Felix Feng)이 창업한 스타트업 기업에서 이더리움 기반으로 비수탁형 프로토콜인 셋 프로토콜 (Set Protocol)을 설립하여 포트폴리오인 세트들(sets)을 생성, 관리,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초기 개발과정에서 제품을 최적화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정부의 규제에 따른 문제도 있었다. 또한 그 당시에는 디파이 개발에 협력할 다른 기업들이 많지 않았다. 그래서 관련되는 기업들인 제로엑스(0x)와 달마(Dharma) 등의 팀들과 텔레그램 그룹을 만들게 되었다. 텔레그램 그룹명을 정하는데 토론을 거쳐 디파이로 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대해 펠릭스 펑(Felix Feng)은 다음과 설명한다.[13]

우리가 합의한 것은 'DeFi'이다.

'도전하다'라는 뜻의 'defy'와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이 멋지다.

(What we landed on was “DeFi”.

It had a really cool nature — sounded like “defy”, meant to challenge.)[13]

2018년 10월 4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첫번째 디파이 행사가 열렸다. 달마 프로토콜(Dharma Protocol), 제로엑스(0x Project) 프로젝트, 코인베이스(Coinbase), 아바쿠스 프로토콜(Abacus Protocol)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참여하였다.[14] 첫 디파이 행사 이후 펠릭스 펑은 여러 암호화폐 회사들과 협력하여 전세계 수백 개의 회의를 열었으며 텔레그램 커뮤니티 역시 많은 성장을 하였다. [13] 디파이 관련 많은 회사들(컴파운드, SySx, 넥서스 뮤추얼)이 셋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성장

커뮤니티가 성장함에 따라 디파이 프로토콜의 가치 또한 증가하였다.

2018년 7월 기준으로 디파이 프로토콜의 총 가치는 1억 8천 달러로 평가되었다.

약 1년 후 5억 달러를 넘어셨다.

2018년 12월 디파이의 91%를 점유하였으나 2019년 7월 점유율이 20%정도로 줄었다.[15] 2020년 2월, 디파이의 총 가치는 10억 달러에 이르렀다.

DTC 캐피탈의 스펜서 눈(Spencer Noon)은 성명에서 아래와 같이 말했다.

오늘날 디파이는 개발자 인지도, 기능성, 개발기반 환경 측면에서 다른 스마트 계약 플랫폼에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탈중앙화 금융에 있어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신용이 필요하지 않은(trustless) 담보 유형으로서 장기적인 금전적 프리미엄을 낼 수 있는 믿을만한 사례를 목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16]

그러나 얼마 후, 총 락업 가치는 하락했지만, 2020년 6월 초 다시 10억 달러로 반등했다.

디파이가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DeFi 거버넌스' 토큰이었다.

컴파운드, 발란서(Balancer), 우마(UMA), 커브(Curve), pNetwork(PNT) 등의 기업들은 프로토콜 사용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자체 거버넌스 토큰을 도입하였다.[17][18] 그 결과 프로토콜에 락업 된 코인의 가치는 급격하게 성장했다.[19]

2020년 5월 초, 비트코인은 WBTC을 통해 디파이 생태계에 통합되었으며, 메이커다오의 플랫폼에도 추가되어 0% USD 코인 안정 수수료를 가지게 되었다. [20] 비트코인, 비트코인 캐시, 지캐시를 ERC20 토큰으로 채굴할 수 있는 RenVM 플랫폼이 출시됐다. RenVM 플랫폼의 출시로 비트코인 보유자들은 "DeFi 영역" 안에서 디지털 자산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디파이 시장의 가치 상승에 기여했다.[21] 또한, dYdX의 '영구 계약' 출시로 이더리움에 대해 최대 10배의 레버리지로 BTC-USDC를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22]

넥서스 뮤추얼과 여러 기업들은 자산의 상당 부분을 이더리움 2.0으로 보유할 계획임을 밝혔다.[24] 투자자들은 PoS(Proof of Stake)의 도입을 통해 지분 보유자들이 "블록 검증"을 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25]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2.0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역대 최고치의 트래픽을 기록하고 있다.[2] 또한 디파이 자산이 급격히 증가해 디파이 플랫폼의 총 예치자산(TVL)은 2020년 8월 5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2020년 6월 초 10억 달러 돌파 이후 60일 만에 5배 증가한 것이다.[27]

DeFi Pulse 데이터 분석 사이트에 따르면 2020년 8월 16일 기준 60억 달러 사상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가 디파이(DeFi) 스마트 계약에 락업되어 있고 한다.[28]

관련 커뮤니티

디파이 네트워크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들의 열린 커뮤니티이다.

핵심 원칙은 아래 세가지이다.

  1. 상호 운용성 및 오픈 소스(Interoperability and Open Source): 디파이 구성원들은 프로젝트를 만들때 상호 운용성을 고려하여 개발한다.

  2. 이를 통해 디파이(DeFi) 프로젝트 전반에 복합적인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3. 오픈 소스를 통해 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의 모든 제품이 기술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한다.[29]

  4. 접근성 및 금융적 포용( Accessibility and Financial Inclusion): 우리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5. 지리적 위치에 관계 없이 자유롭게 가치를 교환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든다.[29]

  6. 금융 투명성( Financial Transparency): 금융 서비스는 불투명한 저장소에 구축되어서는 안된다고 믿는다.

  7. 디파이 개발업체는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모든 사용자들에게 시장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29]

텔레그램

디파이 네트워크: https://t.me/de_fi

DeFi Korea: https://t.me/DeFiKorea

관련 용어

  • 디파이/용어

프로젝트(암호화폐)

  • 디파이/프로젝트 디파이의 프로젝트 종류, 개요

  • 메이커다오(MakerDAO): 1달러에 연동되어 있는 DAI토큰과 담보부채포지션(Collateralized Debt Position, CDP)이라는 개념을 통해 누구나 사용 가능한 대출 플랫폼을 구축

  • 신세틱스(Synthetix): 다양한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 토큰화 하고 거래, 다양한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실물 자산 및 다양한 파생상품 시장을 구성 (예: sBTC, sETH)

  • 스시스왑(디파이): 유니스왑을 포크, 유동성 공급자들에게 거버넌스 토큰을 분배

  • 인스타댑(InstaDApp): 주요 디파이 프로토콜을 통합한 일종의 대시보드

  • 셋 프로토콜

  • 와이언 파이낸스

  • Aave

  • 커브 파이낸스

  • 블록파이: 암호화폐를 담보로 달러를 대출하는 블록체인 대출 서비스

  • 피클 파이낸스(Pickle Finance PICKLE):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을 안정화하도록 하는 이자 농사 프로토콜

  • 굿달러: 빈곤 퇴치 목적으로 보편적 기본 소득(UBI)관련 디파이 프로젝트

  • 크림 파이낸스

  • 슈림프 파이낸스: 2020년 8월 출시,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이로, 얌(디파이)을 포크하여 리베이스(Rebase) 없이 운영

  • 김치 파이낸스: 스시스왑을 포크, ETH, SUSHI, TEND, USDT, 유니스왑 자산들을 이용해 이자 농사 가능

  • 앰플포스: 리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목표가격을 유지하는 변동 화폐이다.

  • Based Money(BASED)

  • Yam (Protocol)

  • Akropolis (AKRO) : 금융 조합으로 구성된 금융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며, 정부 또는 은행과 기타 전통 금융기관의 기본적인 은행 서비스(저축, 투자, 보험 등)를 제공하며, 금융 위기에서 글로벌 리스크를 막아낼 수 있다.

  • BZRX(bZx)

  • 비거 프로토콜

  • 이파이 파이낸스

  • 디파이박스

  • 저스트스왑: 트론 기반 디파이 서비스

  • 풀투게더: 이더리움 기반 이자 농사 복권

  • 라이 파이낸스: 폴카닷 기반 최초의 디파이 서비스

관련 자료

DeFi의 이해 & 프로젝트들 소개(공윤진, 2021.05.21.)[57]

Decentralized Finance: On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Based Financial Markets (미국 연방준비위원회, 2021.02.05.)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한국인터넷진흥원, 2021-01-29)[55]

탈중앙 금융 생태계 지도 — DeFi가 세상을 바꾸는 11가지 방법[54]

ICO 열풍과 디파이 열풍(코인원, 2020-08-22)[30]

  • ICO?

  • IUO?

  • 와이언 파이낸스(Yearn.finance)

  • 와 커브(Curve)

  • 앰플포스(Ampleforth)의 등장

  • 얌 파이낸스(Yam Finance)의 등장

  • 결론

스테이킹(Staking), CeFi 예금(CeFi Savings), 이자농사(Yield Farming)(코인원, 2020-07-25)[31]

  • 스테이킹(Staking)?

  • CeFi 예금(CeFi Savings)?

  • 이자농사(Yield Farming)?

  • PoS기반의 스테이킹(PoS Staking)에서 이자농사(Yield Farming)

  • 발란서(Balancer)

  • 커브(Curve)

  • 와이언 파이낸스(Yearn Finance)

  • BZRX

디파이 이자농사 (DeFi Yield Farming)(코인원, 2020-07-10)[32]

  • 에프코인(Fcoin)과 채굴형 거래소(Mining Exchange)

  • 유동성 채굴(Liquidity Mining)?

  • 컴파운드(Compound)?

  • 이자 농사(Yield Farming)?

  • 디파이 생태계의 이자 농사(Yield Farming)와 나카모토 컨센서스(Nakamoto Consensus)

  • 채굴형 거래소(Mining Exchange)와 이자 농사(Yield Farming), 바뀐것은 이름뿐이다?

  • 시사점 및 결론

리퀴드 스테이킹 (Liquid Staking)(코인원, 2020-06-26)[33]

  • PoS의 장점과 한계점

  • 리퀴드 스테이킹의 등장 배경과 의의

  • 리퀴드 스테이킹의 한계와 개선점

  • 내재적 리퀴드 스테이킹 (Native Liquid Staking)

  • 비 내재적 리퀴드 스테이킹 (Non - Native Liquid Staking)

  • 수탁형 리퀴드 스테이킹 (Custodial Liquid Staking)

DeFi 2.0(코인원, 2020-06-12)[34]

  • 디파이의 의의와 한계

  • 디파이, 담보물 가치에 의존하는 지속 불가능한 금융

  • 금리 변동성의 문제점을 안은 디파이, 답은 시파이다?

  • PoS, DeFi 2.0의 등장

디파이(DeFi) 생태계의 다양한 분야와 플레이어(코인원, 2020-05-15)[35]

  • DeFi 시장점유율

  • 메이커다오(Maker DAO)

  • 신테틱스(Synthetix)

  • 컴파운드(Compound)

  • 유니스왑(Uniswap)

  • 인스타댑(InstaDApp)

  • dYdX

디파이(DeFi) 생태계의 다양한 분야와 플레이어(코인원, 2020-04-29)[36]

  • DeFi의 활용 범위

  • DeFi 분류

  • DeFi의 다양한 플레이어

  • DeFi에도 단계가 있다?

2020년, 모든 투자자가 주목하는 탈중앙화 금융, 디파이(DeFi)(코인원, 2020-04-17)[37]

  • 하락장은 개발장이다?

  • DeFi vs FinTech

  • DeFi의 기원

  • DeFi의 장점

  • DeFi 생태계 및 전망

  • 금융기관, 비트코인, DeFi

기타

디파이 관련 코인들 상장 현황[41]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수료 비교[42]

디파이 프로젝트 시총[44][45][46]

이자 농사 총 예치자산 순위: 코인마켓캡[50], 코인게코[51]

바이낸스 아카데미 영어판[48], 한국어판[49]

References

[1]
Citation Linkconsensys.net
Oct 5, 2020, 1:10 PM
[2]
Citation Linkcointelegraph.comcointelegraph
Aug 20, 2020, 3:01 PM
[3]
Citation Linkqz.comqz
Aug 20, 2020, 3:01 PM
[4]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
Aug 21, 2020, 7:30 AM
[5]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
Aug 21, 2020, 7:30 AM
[6]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
Aug 21, 2020, 7:30 AM
[7]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
Aug 21, 2020, 7:30 AM
[8]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
Aug 21, 2020, 7:30 AM
[9]
Citation Linkwww.youtube.comJoinD
Aug 21, 2020, 7:31 AM
[10]
Citation Linkwww.youtube.com
Aug 21, 2020, 7:32 AM
[11]
Citation Linkdefipulse.comDeFi Pulse - What is DeFi?
Aug 21, 2020, 1:51 PM
[12]
Citation Linkwww.youtube.comWhat is DeFi?A Comprehensive Guide to Decentralized Finance
Aug 21, 2020, 1:55 PM
[13]
Citation Linkmedium.commedium
Aug 21, 2020, 2:24 PM
[14]
Citation Linktwitter.comtwitter
Aug 21, 2020, 2:28 PM
[15]
Citation Linkwww.theblockcrypto.comtheblockcrypto
Aug 24, 2020, 4:27 AM
[16]
Citation Linkwww.coindesk.comcoindesk
Aug 24, 2020, 4:31 AM
[17]
Citation Linkdefirate.comdefirate
Aug 24, 2020, 4:51 AM
[18]
Citation Linkdefirate.comdefirate
Aug 24, 2020, 4:51 AM
[19]
Citation Linkdefirate.comdefirate
Aug 24, 2020, 4:55 AM
[20]
Citation Linkdefirate.comdefirate
Aug 24, 2020, 5:07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