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ipedia Logo
Everipedia is now IQ.wiki - Join the IQ Brainlist and our Discord for early access to editing on the new platform and to participate in the beta testing.
리베이스(디파이)

리베이스(디파이)

**리베이스(Rebase)**는 토큰이 일정 가격에 수렴하도록 정해진 절차에 따라 토큰의 총 공급량이 조절되는 것을 말한다.

개요

리베이스는 토큰의 시장가격에 따라 조절되며, 토큰 보유자의 보유량 비율이 변하거나 희석되지 않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리베이스는 시장가격과 목표가격의 차이에 따라 공급량 조정을 통해 목표 가격에 수렴하는 개념이다.[1]

리베이스가 적용되는 토큰은 목표가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s)과 비슷하지만 원리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스테이블 코인은 고정된 가격에 맞춰 총 공급 물량이 고정되어 있으며 1:1 교환 개념이지만, 리베이스는 토큰가치 변동에 따라 전체 토큰 공급량을 조절하는 상품으로, 공급량 조정을 통해 목표 가격에 수렴하도록 한다.[1]

리베이스의 예

예를 들어, 홍길동(가명)이 목표 가격이 1,000원인 X코인을 100,000원(100개) 매수했다고 가정한다.

만약, X코인이 매수가 많아져 20% 상승하여 1,200원이 되면 리베이스를 통해 총 공급량이 20%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홍길동은 X코인을 처음 100개 매수했지만 리베이스를 통한 공급량 증가로 120개의 X코인을 보유하게 되며 144,000원 가치로 상승한다.

공급량 20% 증가를 통해 시장 가격을 1,000원에 수렴하게 한다.(긍정 리베이스, positive rebase)

반대로 시장가격이 1,000원 아래로 떨어질 경우 X코인의 총 공급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시장 가격이 1,000원으로 상승하도록 조정된다.(부정 리베이스, negative rebase)[2][3]

Ampleforth, Based Money, Yam (Protocol) 등이 리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탄력적으로 공급량을 조절하는 코인이다.[1]

기타

리베이스 기능이 있는 토큰은 최근 두드러지게 성장하는 디파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전자화폐에서 가능한 리베이스는 의미있거나 생산적인 면이 없다고 비판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금융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이라고 평가한다.[1]

최근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업계에서 리베이스 토큰은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를 악용하는 사례들도 늘어나고 있다.[4]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디파이/프로젝트

References

[1]
Citation Linkdefiprime.com
Oct 5, 2020, 1:55 PM
[2]
Citation Linkwww.youtube.comAmpleforth Explained in 5 minutes - AMPL in a nutshell - DeFi - What is it?
Aug 25, 2020, 7:12 AM
[3]
Citation Linkwww.youtube.com😍 WHAT IS AMPLEFORTH?😱 Elastic Supply Protocol - Programmer explains
Aug 25, 2020, 7:13 AM
[4]
Citation Linkjoind.io
Aug 30, 2020, 8:02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