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ipedia Logo
Everipedia is now IQ.wiki - Join the IQ Brainlist and our Discord for early access to editing on the new platform and to participate in the beta testing.
에브리피디아 백서

에브리피디아 백서

(현재 문단 단위로 차례로 번역 진행중입니다)

A Peer-to-Peer Encyclopedia Network [-1]

Sam Kazemian, Kedar Iyer, Travis Moore, Theodor Forselius, Larry Sanger

sam@everipedia.com kedar@everipedia.com travis@everipedia.com theodor@everipedia.com larry@everipedia.com

DISCLAIMER: This Everipedia Network Technical White Paper version 1.23 (August 19 2018) is a work in progress and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It is meant to serve as a proposal of ideas for free, open-source software.

DISCLAIMER:

이 Everipedia Network Technical 백서 1.23은 완성본이 아닌 개정 진행 중이며 정보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이 백서는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Abstract 요약

Emerging blockchain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create an incentivized peer-to-peer network for submitting, curating, and governing a database of encyclopedia articles.

Participants in the network earn tokens for curating and submitting content to the database, then use these tokens to vote on protocol upgrades and further submissions or modifications to the database of articles.

Websites, businesses, or individuals can build their own user interface to interact with the network or a subset of the network.

This allows websites and applications to access and collaborate on a synchronized database of human knowledge, a “greater wiki,” that is constantly updated by all participants and applications on the network.

블록체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백과사전의 문서들을 제출, 선별하고 데이터를 관리함에 있어 보상체계가 적용되는 개인간 네트워크가 가능해졌다.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새로운 문서를 제출하고 선별함으로써 보상으로서 토큰을 얻고, 이 토큰을 사용하여 새로운 문서를 제출, 선별하고 프로토콜을 개선하는데 투표할 수 있다.

웹사이트, 사업체 혹은 개인들은 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자체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나 응용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의 모든 참여자와 응용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인류의 지적자산에 접속하여 협업할 수 있다.

We propose a three module system consisting of a token module, a governance module, and an article submission module.

These components interact to create a sustainable, decentralized, immutable, incentivized network of editors that create quality, well-cited encyclopedia articles.

The usefulness of having credible information included in this highly ordered, historically recorded, and community maintained distributed database becomes valuable.

This usefulness and a stake in the overall network provides the token its utility and value.

토큰 모듈, 거버넌스 모듈 및 문서 제출 모듈로 구성된 3가지 모듈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상호 작용을 통해 양질의 백과 사전 기사를 생성하는 지속 가능하고 분산화 되고 불변하며 직관적인 편집자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고도로 질서 있고, 역사적으로 기록되며, 지역 사회가 유지 관리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의 유용성은 가치가 있다.

이 유용성과 전체 네트워크의 지분은 토큰의 유용성과 가치를 제공한다.

Introduction: The Everipedia Network

The Everipedia Network (EPN) is a decentralized encyclopedia database fully governed by token holders.

Token holders can approve edits, create network-wide rules that govern the encyclopedia, as well as buy and sell services for tokens on the network.

This also means that tokens play a central role in the consensus protocol of finalizing data entry into the network.

EPN(Everipedia Network)은 토큰 보유자가 완전히 관리하는 분산 백과 사전 데이터베이스다.

토큰 소유자는 편집을 승인하고, 백과 사전을 지배하는 네트워크 전반의 규칙을 생성하며, 네트워크 상의 토큰에 대한 서비스를 구입하고 판매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토큰이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마무리하는 합의 프로토콜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Everipedia Network turns the non-profit knowledge industry into a knowledge economy where economic incentives can guide the creation of knowledge content.

With the EPN one can connect directly to the world’s largest wiki database from any site.

We imagine a future in which even non-programmers can create sites that utilize the Everipedia Network through something as simple as a Wordpress template.

Everipedia Network는 비영리 지식 산업을 경제적 인센티브를 통해 지식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지식 경제로 전환합니다.

EPN을 사용하면 어느 사이트에서나 세계에서 가장 큰 위키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들도 워드 프레스 템플릿과 같은 간단한 것을 통해 Everipedia Network를 활용하는 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미래를 상상합니다.

Network effects have had a heavy centralization effect on the knowledge industry preventing serious competition and market forces from springing up.

Wikipedia is one of the largest websites in the world boasting over 19 billion pageviews a month across all languages.[1][2] However, Wikipedia unintentionally traps the knowledge capital it generates within its own platform when its content could be used to create a thriving knowledge economy.

네트워크 효과는 지식 산업에 대한 집중화 효과가 커 심각한 경쟁과 시장 지배력이 형성되는 것을 막았다.

위키 피디아는 전 언어에 걸쳐 한달에 190억개 이상의 페이지 뷰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웹 사이트 중 하나이다.

그러나, 위키 피디아는 그것의 내용이 번영하는 지식 경제를 창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때 의도치 않게 그것이 생성하는 지식 자본을 플랫폼 내에 가둔다.

Additionally, one clear shortcoming Wikipedia has demonstrated is its inability to capture any of the monetary and intrinsic value of content that its platform and community has created, as evidenced by bi-annual donation banner campaigns.[3][4] In this regard, there is room to dramatically upend the status quo by creating an open, distributed knowledge base with technology that properly tracks the value creation of the community and returns this value back to the creators, curators, and developers of the platform.

Additionally, a distributed platform which draws consensus, contributions, incentives, and value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network also has a unique opportunity for the participants to take part in the actual hosting, storage, and distribution of the content on such a network.

또한, 위키 피디아가 보여 준 분명한 결점 하나는 플랫폼과 커뮤니티가 만들어 낸 어떠한 금전적이고 본질적인 콘텐츠의 가치, 즉 양방향 기부 배너 캠페인을 통해 입증된 것이다.[3] 또한 네트워크 참여자들로부터 합의, 기여, 인센티브 및 가치를 이끌어 내는 분산 플랫폼은 참여자들이 네트워크 상의 콘텐츠의 실제 호스팅, 저장 및 배포에 참여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

Achieving such a goal would create a peer to peer distributed content system that is properly incentivized and coordinated.

Such a system would be immune to single points of failure which makes it nearly impossible to censor or block access by various bad actors.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면 적절한 인센티브를 받고 조정되는 피어 투 피어 분산 콘텐츠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나쁜 행위자들의 접근을 검열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단일한 실패 지점에 대한 면역성이 있을 것이다.

The three modules of the EPN and their interactions.

The token module is responsible for holding token balances, minting schedule, and sending/receiving/fee functions.

It can change the state of the article module.

The article module is responsible for edit proposals and changing the state of the database of articles which are then sent to IPFS nodes.

The governance module is responsible for proposals on changing network-wide rules.

It can change the state of any module (including itself) by deploying new code that is voted through by token holders.

EPN의 세가지 모듈과 그 상호 작용.

토큰 모듈은 토큰 균형 유지, 일정 변경 및'수신'기능 전송을 담당합니다.

문서 모듈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문서 모듈은 제안을 편집하고 IPFS노드로 전송되는 문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경할 책임이 있습니다.

거버넌스 모듈은 네트워크 전반의 규칙 변경에 관한 제안을 담당한다.

토큰 홀더를 통해 투표된 새 코드를 배포하여 모듈(자체 포함)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On-chain Knowledge & Facts

Current smart contracts are fairly simplistic and do not have the capability to replicate more nuanced financial arrangements in the real world.

Additionally, the “oracle problem” is still unresolved.

There is no standard, trustless, and sybil resistant method for agreeing on real-world knowledge so that financial transactions can reference them.

One of the direct uses of the Everipedia Network should be to create the world’s first repository of on-chain knowledge so that financial transactions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s can reference them without having to re-invent their own oracle systems.

In this sense, the IQ token’s intrinsic value is the stake it provides in the largest distributed repository of facts used by a growing industry.

현재의 스마트 계약은 상당히 단순하며 현실 세계에서 더 많은 차이를 가진 금융 협정을 복제할 능력이 없다.

또한"신탁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금융 거래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실제 지식에 동의하는 표준, 신뢰성 없는, sybil저항 방식은 없습니다.

Everipedia Network의 직접적인 용도 중 하나는 금융 거래 및 분산 응용 프로그램이 자체적인 Oracle시스템을 재투자하지 않고도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세계 최초의 내부 지식 저장소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IQ토큰의 고유한 가치는 성장하는 산업에서 사용하는 가장 큰 분산된 사실 저장소에 제공하는 지분입니다.

Governance Module

The governance module is an object which has scope to make changes to every module, including itself.

Governance actions can modify the software for any of the three modules, but not the databases containing token balances and articles.

거버넌스 모듈은 자신을 포함한 모든 모듈을 변경할 수 있는 범위를 가진 객체입니다.

거버넌스 조치는 세개의 모듈 중 하나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수 있지만 토큰 균형과 문서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수정할 수 없습니다.

The governance module allows for submitting changes to the community of token holders for approval.

If approved, the governance module then deploys those changes to the corresponding module(s).

This allows for the community to come to social consensus on the rules that govern the network as a whole.

Discussion about this consensus can take place off-chain on social media and other communication hubs, but deployment of new code needs to be done on-chain in a trustless manner.

거버넌스 모듈은 승인을 위해 토큰 보유자 커뮤니티에 변경 사항을 제출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승인된 경우, 거버넌스 모듈은 이러한 변경 사항을 해당 모듈에 배포합니다.

이는 공동체가 네트워크 전체를 지배하는 규칙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합의에 대한 논의는 소셜 미디어와 다른 통신 허브에서 중단될 수 있지만 새로운 코드의 배포는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The EPN will be a system of smart contracts on the EOS platform, so users will not be running full nodes of the Everipedia Network.

This means users cannot vote on software updates by updating their client software as they do in Bitcoin or Ethereum.

Instead, a trustless on-chain consensus process must be designed for deployment of new updates.

EPN은 EOS플랫폼에 대한 스마트 계약 시스템이므로 사용자가 Everipedia Network의 전체 노드를 실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비트 코인이나 Ethereum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투표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대신, 신뢰할 수 없는 회의실 내 합의 프로세스가 새로운 업데이트의 배포를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Without an internal consensus process, the only viable alternative for updating the module software would be for a trusted party (such as core developers or a foundation) to process off-chain consensus and deploy new updates with their elevated permissions.

This is undesirable given the spirit of the industry and the clear trustless alternative that is possible.

내부 합의 프로세스가 없다면 모듈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신뢰할 수 있는 당사자(예:핵심 개발자 또는 기초)가 높은 권한으로 외부 합의를 처리하고 새 업데이트를 배포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가능한 산업의 정신과 분명한 신뢰할 수 없는 대안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Research and development, solutions to scaling, and improvements to the codebase are just as critical (if not more critical) as any service and feature built on top of the network.

For this reason, we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proposing edits and additions to the source code of the network through the governance module.

This mechanism will be used for meta-governance of the network protocol itself in a fully trustless, on-chain process.

연구 개발, 확장 솔루션 및 코드 베이스 개선은 네트워크 상에 구축된 모든 서비스와 기능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거버넌스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소스 코드의 편집과 추가를 제안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메커니즘은 완전히 신뢰할 수 없는 내부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자체의 메타 관리에 사용될 것이다.

Funding the Network and Self-Sustainability

네트워크 및 자가 유지 보수 지원

The Everipedia Network is a series of modules (smart contracts) which runs on the EOS Virtual Machine (EVM).

The virtual machine’s storage, random access memory, and bandwidth/compute resources are allocated to accounts proportional to their EOS token balances.

The Everipedia Network will require EVM resources to run and function.

As the network increases in size, it would require a higher percentage of the EOS network’s compute power and as a result need more EOS tokens.

There are many ways for the EPN to fund itself ranging from older generation methods such as simple donations (such as Wikipedia.org), UX layer revenue as well as new generation methods based on token inflation and auctioning.

One such funding method would be a governance action which would propose minting new IQ tokens to be auctioned for EOS tokens.

If the action is approved by voters, the newly acquired EOS tokens would then be used to fund the EPN's new bandwidth, storage, and compute needs.

This method is similar to the EOS network's own inflation based funding model where block producers are paid EOS tokens for their services.

Everipedia Network는 EOS가상 머신(EVM)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모듈(스마트 계약)입니다.

가상 시스템의 스토리지,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대역 폭/컴퓨팅 리소스는 EOS토큰 균형에 비례하는 계정에 할당됩니다.

Everipedia Network를 실행하고 작동하려면 EVM리소스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EOS네트워크의 컴퓨팅 성능 중 더 높은 비율이 요구되므로 EOS토큰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EPN은 단순한 기부금(예:사용자 측)과 토큰 인플레이션 및 경매에 기반한 새로운 세대 방법 등 기존 세대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한 자금 조달 방법 중 하나는 EOS토큰에 대해 경매될 새로운 IQ토큰을 혼합할 것을 제안하는 거버넌스 조치가 될 것입니다.

유권자가 조치를 승인하면 새로 획득한 EOS토큰이 EPN의 새로운 대역 폭, 스토리지 및 컴퓨팅 요구 사항을 지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블록 생산자가 서비스에 대해 EOS토큰을 지급 받는 EOS네트워크 자체의 인플레이션 기반 자금 조달 모델과 유사합니다.

Token Module

The token module is responsible for making changes to the token balances of addresses by transferring tokens, applying transaction fees, minting tokens, and locking tokens for the article consensus process.

The fundamental unit of account in the Everipedia Network is the IQ token which is tracked within the token module.

토큰 모듈은 물품 합의 과정에서 토큰을 전송하고, 거래 수수료를 적용하고, 토큰을 교환하고, 토큰을 잠금으로써 주소의 토큰 잔액을 변경할 책임이 있습니다.

EveripediaNetwork에서 계정의 기본 단위는 토큰 모듈 내에서 추적되는 IQ토큰입니다.

Initial Supply & Minting Schedule

초기 수급 및 수급 일정

Tokens will be minted daily through the edit process and edit curation process.

There will be a fixed amount of tokens minted each day.

The amount will be reset every day at 00:00 UTC.

토큰은 편집 프로세스와 잘라내기 편집 프로세스를 통해 매일 주조됩니다.

매일 일정량의 교환권이 발행될 것이다.

금액은 매일 00:00 UTC로 재설정됩니다.

Proposed edits pass tiered thresholds and receive IQ rewards based on votes of token holders.

The first tier gets their collateral back, but no additional reward (for an explanation of collateral, see the article module).

Thresholds past the first tier earn from the daily IQ reward pool.

The exact thresholds and distributions for the tiers will be determined by the community as one of the first governance actions.

제안된 편집은 계층화된 임계값을 통과하고 토큰 보유자의 투표에 따라 IQ보상을 받습니다.

첫번째 계층은 그들의 담보를 되찾지만 추가 보상은 받지 못한다.

첫번째 계층을 지나는 임계값은 매일 IQ보상 풀에서 얻습니다.

계층에 대한 정확한 임계값과 분포는 커뮤니티에서 첫번째 거버넌스 조치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At the end of the day, editors will receive IQ rewards in proportion to the value of their contributions.

An single editor’s contribution is valued based on the number and tiers of edits approved (Listing 1).

The IQ reward available per day is determined by the daily minting formula (Listing 2).

결국, 편집자들은 기부금의 가치에 비례하여 IQ보상을 받을 것이다.

단일 편집자의 기여는 승인된 편집 횟수 및 편집 단계에 따라 평가됩니다(목록 1). 하루에 이용할 수 있는 IQ보상은 일일 혼합 공식(목록 2)에 의해 결정된다.

Listing 1: IQ reward formula for a single editor

목록 1:단일 편집기에 대한 IQ보상 공식

R = Editor’s IQ reward

E = Editor’s contribution value

T = Total contribution value for the day across all edits

T=모든 편집에 대한 일의 총 기여 값

Q = IQ daily mint rate constant

Q=IQ일별 박하 레이트 상수

R = E * T

Q

The available IQ reward for the day, Q, is determined by Listing 2:

하루에 사용 가능한 IQ보상은 목록 2에 의해 결정됩니다.

Listing 2: Daily IQ minting formula

목록 2:일별 IQ혼합 공식

S0 = Token Supply at Genesis

F = Daily mint rate

A = Annual mint rate

F = (1 + A)1/365 - 1

Q = F * S0

The annual mint rate, A, will be 5% to match the EOS inflation rate, but the number can be changed by a governance action.

Additionally, the minted tokens can be partially re-allocated by a governance action for a developer fund, bounties, or any other use.

연간 박하율 A는 EOS인플레이션 비율과 일치하도록 5%이지만 거버넌스 조치에 따라 수치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조된 토큰은 개발자 자금, 경계 또는 기타 용도에 대한 거버넌스 조치에 의해 부분적으로 재배치될 수 있습니다.

Article Module

The article module is used to propose edits to be included in the database.

Proposed edits are tuple objects which contain an IPFS hash pointing to the immediate parent version and an IPFS hash pointing to the new version.

An example of an edit object could be:

문서 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편집을 제안하는 데 사용됩니다.

제안된 편집은 즉시 상위 버전을 가리키는 IPFS해시와 새 버전을 가리키는 IPFS해시를 포함하는 튜플 개체입니다.

편집 개체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QmXvHQCbvxp3vQm96VmZDBaTX8Aae6vVcoTvVB6QQsMXnM, QmeAv3LJo4Kre6dR7GQBqjJFztY9YWZD131W5tYGStUcbM ]

Staking IQ Tokens

IQ토큰 정지

Staking IQ tokens is required to propose edits, vote on edits, and propose/vote on network governance actions.

IQ is staked by locking up tokens in a 21-day vesting period.

This is similar to other blockchains such as Steem which requires users to “power up” (essentially lock and vest) their tokens in order to vote/stake them on content published on the platform.[9] The process of staking IQ is also called powering up (as a token of appreciation to Steem’s pioneering design).

IQ that is locked up for 21 days gives the holder “brain power” (BP) at a 1:1 ratio.

Brain power is not a fungible or transferable token and only spent during usage of the EPN by the staking account.

Once an account’s BP is entirely spent, they must wait for the IQ staking period of 21 days to end before re-staking their tokens for BP to use the EPN.

Otherwise, they can acquire more IQ tokens and stake the newly acquired IQ for BP.

네트워크 거버넌스 조치에 대한 편집을 제안하고, 편집에 투표하고, 제안/거부하려면 IQ토큰이 필요합니다.

IQ는 21일 간의 확인 기간 내에 토큰을 잠금으로써 고정됩니다.

이것은 사용자가 토큰의 전원을 " 켜야" 하는 Steem과 같은 다른 블록 체인과 유사합니다.

21일 동안 갇혀 있는 IQ는 보유자에게 1:1비율의 뇌 파워(BP)를 제공한다.

뇌의 힘은 대체할 수 있거나 양도할 수 있는 토큰이 아니며, 주식 거래처에서 EPN을 사용할 때만 사용됩니다.

한 계정의 BP가 완전히 소비되면, 그들은 BP가 EPN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토큰을 다시 고정하기 전에 IQ가 떨어지는 21일을 기다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더 많은 IQ토큰을 얻을 수 있고 BP를 위해 새로 획득한 IQ를 걸 수 있다.

Example: A user has 150 IQ tokens.

They can call the staking function to lock up their 150 IQ tokens for 21 days and get their account allocated 150 Brain Power to use for proposing edits, governance actions, and voting.

예:사용자에게 150개의 IQ토큰이 있습니다.

그들은 Staking기능을 호출하여 그들의 150개의 IQ토큰을 21일 동안 잠가 놓고 그들의 계정이 편집, 관리 활동, 투표 제안에 사용할 150개의 두뇌 파워를 할당 받는다.

The second feature of the article module is usiing BP for token holder voting of inclusion or exclusion of proposed edits in queue.

The validation of articles goes through a validation algorithm (below) with parameters that can be changed through a governance vote.

기사 모듈의 두번째 특징은 대기 열에 제안된 편집 내용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것으로 투표하는 BP를 이용하는 것이다.

기사의 유효성 확인은 관리자 투표를 통해 변경될 수 있는 매개 변수를 가진 검증 알고리즘(아래)을 거친다.

Edit proposals are approved in tiers which is an output of the validator function inside the article module.

The tiers are as follows:

편집 제안서는 문서 모듈 내 유효성 검사기 기능의 산출물인 계층에서 승인됩니다.

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Tier 1: Proposal not approved, collateral burned

Tier1:제안서가 승인되지 않았으며, 담보물이 연소됨

Tier 2: Proposal approved, no token reward given, collateral returned

Tier2:제안 승인, 토큰 보상 없음, 담보 반환

Tier 3: Proposal approved, token rewards given proportional to token holder votes, collateral returned

Tier3:제안 승인, 토큰 보유자 투표에 비례하여 토큰 보상 제공, 담보 반환

If edit proposals hit Tier 2 or Tier 3 then the article module will store the corresponding edit proposal object into the module database.

편집 제안서가 Tier2또는 Tier3에 도달하면 문서 모듈은 해당 편집 제안 오브젝트를 모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Validation Algorithm (the content consensus method)

유효성 확인 알고리즘(내용 일치 방법)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in the network is the validation of state changes to the database - that is, approval of changes to articles or creation of new ones.

The validation algorithm is a function which takes in as arguments the proposed edit object of the article and the BP votes for that proposal.

It returns the tier of the edit proposal and token rewards and slashing conditions (if applicable).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태 변경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즉, 문서 변경의 승인 또는 새로운 변경 사항의 작성이다.

검증 알고리즘은 제안된 기사의 편집 목적과 그 제안에 대한 BP투표를 주장하는 함수이다.

편집 제안의 계층을 반환하고 토큰 보상을 제공하며 조건을 줄입니다(해당하는 경우).

The validation period for each edit lasts a maximum of 72 hours or when a minimum staking threshold is reached.

Front-ends are free to use their own criteria to display pending edits since even pending edit objects are located inside the database.

For example, some front-ends could choose to display all pending edits with time-sensitive content.

각 편집의 유효 기간은 최대 72시간 또는 최소 중지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됩니다.

데이터베이스 내에 보류 중인 편집 개체도 있으므로, 자체 기준을 사용하여 보류 중인 편집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프런트 엔드에서는 시간에 민감한 내용으로 모든 보류 중인 편집 내용을 표시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At the end of the validation period, an edit is classified into a tier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These criteria can be modified by the governance module.

One vote is equivalent to one BP.

검증 기간이 끝나면 다음 기준을 사용하여 편집을 계층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거버넌스 모듈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한 표는 하나의 BP와 같다.

Tier 1 - Less than 50% yes votes

Tier1-찬성 50%미만

Tier 2 - Greater than 50% of yes votes but fails to qualify for Tier 3.

Tier2-50%이상의 찬성 표를 얻었지만 Tier3의 자격을 얻지 못 합니다.

Tier 3 - Greater than 75% of yes votes

Tier3-75%이상의 찬성 표

Every vote received by a Tier 3 edit counts towards an editor’s daily contribution value.

IQ rewards for the day are dispersed based on the formulas in Listings 1 and 2 in the Token Module.

Tier3편집기가 받는 모든 투표는 편집자의 일일 기부 금액에 해당합니다.

하루의 IQ보상은 토큰 모듈의 목록 1과 2의 공식에 따라 분산됩니다.

Slashing Conditions

미끄럼 조건

Editing articles can be a fairly contentious activity.

However, there must be sybil-resistant economic incentives to have token holders arrive at the common, salient answer of the edit proposal.

That is, there must be incentives for each individual agent to arrive at what they believe to be the common response - the correct one.

Likewise, there should be disincentives proportional to arriving at the minority response - the incorrect one.

Unlike proof of stake based consensus methods which slash/burn the staker’s tokens for voting on incorrect blocks, the EPN slashing condition does not permanently burn tokens for voting incorrectly (voting on the minority side).

기사를 편집하는 것은 상당히 논쟁의 여지가 많은 활동일 수 있다.

그러나 토큰 보유자가 편집 제안서의 일반적이고 주목할 만한 답변에 도달하려면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경제적 인센티브가 있어야 합니다.

즉, 각 개별 대리인이 일반적인 응답이라고 생각하는 정확한 응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소수 집단의 대응에 도달하는 것에 비례하는 망설임이 있어야 한다.

부정한 투표를 위해 잠복 근무자의 토큰을 삭제하는 이해 관계에 기초한 합의 증거와 달리 EPN절단 조건은 투표를 위해 토큰을 영구적으로 잘못 굽지 않습니다(소수 집단 투표).

Slashing increases the staking lock-up perio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minority voting ratio.

If a user’s account is slashed, their lock-up period for withdrawing their IQ tokens increases by some amount.

This solves two issues: 1.

Repeatedly voting on the minority side effectively burns IQ tokens since the lock-up period consistently increases so that repeated attacks on the network de facto remove the attacker’s IQ tokens from circulation (since they will not be able to withdraw and re-stake their tokens for a very long duration).

  1. Participation in genuine contentious discussions (“edit wars”) is not discouraged since losing sides do not get their tokens burned permanently.

Additionally, the more contentious an edit is, the less penalty there is for voting on the minority side (since the minority is almost as large as the majority).

미끄러짐은 잠복 잠금 기간을 소수 투표율에 반비례하여 증가시킨다.

사용자의 계정이 축소되면 IQ토큰을 인출할 수 있는 잠금 기간이 어느 정도 늘어난다.

이것은 두가지 문제를 해결한다:1.

잠금 기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소수의 쪽에서 투표를 반복하면 사실상 네트워크에 대한 반복적인 공격으로 인해 공격자의 IQ토큰이 오래 사용되지 않게 됩니다.

  1. 논쟁이 되고 있는 진정한 토론에 참여하는 것은 패배한 쪽들이 그들의 토큰을 영원히 불 태워 버리지 않기 때문에 좌절되지 않는다.

게다가, 편집자들이 논쟁을 많이 할수록, 소수에 대한 투표에 대한 처벌이 적어진다.

Voters in the majority are given a proportional amount of the IQ inflationary token reward allotted for content.

Voters that vote in the minority have their token lock-up period increased for an extended amount of time, inversely-proportional to the minority stake.

The slashing ratio can be modeled with the following:

대다수 유권자들은 콘텐츠에 할당된 IQ인플레이션 토큰의 비례적인 액수를 받는다.

소수에 투표하는 유권자들은 그들의 대표적인 정체 기간이 더 길게 증가했는데, 이는 소수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다.

절단 비율은 다음을 사용하여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Total Majority BP Votes - Total Minority BP Votes) / (Total BP Votes) = Slashing Ratio

(전체 대 BP전압-총 소수 BP전압)/(총 BP전압)= 미끄러짐 비율

Ex: User has 200 Brain Power and votes “No” using all their BP for an edit proposal.

Total votes equal 2000 Brain Power with 1500 BP votes “Yes” and 500 total BP votes “No.”

Because the user voted on the minority side, the slashing ratio is calculated as: ((1500) - (500)) / (2000) = (.5) then multiplied by (21 days) to get the increased lock-up time.

예:사용자는 200개의 두뇌 파워를 가지고 있고 편집 제안서를 위해 모든 BP를 사용하여"아니오"투표를 한다.

1500BP투표 수"예"및 500BP총 투표 수"아니오"로 구성된 총 투표 수는 사용자가 소수에게 투표했기 때문에:((1500)-(500))-5일(2000)로 계산됩니다.

The 200 IQ that generated the 200 BP is locked up for an additional 10.5 days.

Note: The more contentious the voting, the less the penalty is for voting in the minority.

200BP를 생성한 200개의 IQ는 10.5일 더 잠겨 있다.

주의:투표가 논쟁 거리가 될수록, 벌금은 소수에게 덜 부과된다.

Identity, Reputation, and Account Histories

ID, 평판 및 계정 기록

It is possible to leverage upcoming on-chain identification and reputation systems to incorporate into the validation algorithm and edit approval process such that previous edit histories and identities of editors can be measured in the consensus process.

Such identity systems could include uPort or native EOS.IO

user ID/reputation systems. Since

edit proposals (and their approval/disapproval) are already stored on-chain, this user history can be incorporated into new updates to the validation algorithm coupled with the identification/credentials of the user.

다가오는 체인 내 식별 및 평판 시스템을 활용하여 유효성 확인 알고리즘에 통합하고 편집자의 이전 편집 이력 및 ID를 합의 프로세스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승인 프로세스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ID시스템에는 FlashRay또는 기본형의 사용자 ID/입력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편집 제안(및 해당 승인/승인)은 이미 세션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사용자 기록은 사용자 ID/상황과 함께 유효성 검사 알고리즘의 새로운 업데이트에 통합될 수 있습니다.

Delegating Votes

위임 전압

Users who do not wish to personally vote using their BP can delegate their BP to another entity or “pool” for consensus voting.

Pools will be operated by the community and vote on behalf of their users according to transparent principles published in a constitution, wiki, or similar document.

This could form a secondary market for the price of BP if there is sufficient demand similar to how secondary markets are likely to form over EOS.IO

bandwidth, RAM, and storage.

BP를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투표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그들의 BP를 다른 단체나 "풀"에게 위임하여 합의된 투표를 할 수 있다.

커뮤니티에서 운영하고 헌법, 위키 또는 유사 문서에 게시된 투명한 원칙에 따라 사용자를 대신하여 투표합니다.

이는 2차 시장이 대역 폭, RAM및 스토리지를 초과하여 형성될 가능성과 유사한 충분한 수요가 있는 경우 BP가격의 2차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Building a delegate layer on top of the base voting protocol would allow a market to form over article narratives as “thought leaders” pledge curation ideals they would follow should they be delegated votes.

For example, an anti-censorship staking pool could state that they will vote in favor of any edit that adequately cites its sources regardless of the specifics of the content.

Users who believe in this vision for the encyclopedia network could delegate their votes to the staking pool.

기본 투표 프로토콜 위에 대의원 계층을 구축하는 것은 시장이 기사에 대한 묘사를 "사고 지도자"로서 그들이 투표를 위임 받는다면 따를 욕을 하는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열 반대 집단은 내용의 세부 사항에 관계 없이 출처를 적절히 인용하는 편집에 찬성 투표할 것이라고 진술할 수 있다.

백과 사전 네트워크에 대한 이 비전을 믿는 사용자들은 그들의 투표를 잠복하는 풀에 위임할 수 있다.

Staking by Article or Topic

문서 또는 주제별 설명

It is possible to explore per article or per topic staking such that staking IQ tokens to a specified subsection of the network’s content gives the staker more BP authority over such article/topic but only allows them to partake in voting for that specified article/topic.

The validation algorithm which computes BP votes would need to check for the type of stake (general vs. per article/topic) and weight the vote accordingly.

This feature would allow users to “own” a certain jurisdictional authority over certain topics proportional to their stake in that area of the network’s content.

네트워크 콘텐츠의 특정 하위 섹션에 IQ토큰을 고정하는 것이 해당 항목/항목에 대한 더 많은 BP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기사별 또는 주제별로 탐색할 수 있다.

BP투표를 계산하는 검증 알고리즘은 이해 관계의 유형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투표에 무게를 실어야 한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콘텐츠 영역의 지분에 비례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특정 관할권을 "소유" 할 수 있게 한다.

EOS.IO

Implementation

EOS.IO

구현

EOS.IO

software is a Turing-complete distributed computing platform and smart contract system in which block producers allocate bandwidth & storage for large scale decentralized applications proportional to the user/developer EOS token balance.[7]

EOS.IO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비례하여 블록 생산자가 대규모 분산 응용 프로그램에 대역 폭과 스토리지를 할당하는 Turing-completed컴퓨팅 플랫폼과 스마트 계약 시스템입니다.

EOS.IO

schematic: Block producers of the network provide bandwidth, IPFS storage, query services, servers, and gateway interfaces. They

are incentivized to do this through newly minted EOS tokens, similar to how Bitcoin miners are incentivized to provide SHA256 hashing services to the network through Bitcoin block rewards. Users

(clients) then connect to services made available by block producers similar to using classical internet services. Since

there are multiple block producers, there is a distributed entry point to all software on the EOS.io network unlike classical centralized web applications. img-source:

EOS.IO retrieved

from: steemit.com

네트워크의 블록 생산자가 대역 폭, IPFS저장소, 쿼리 서비스, 서버 및 게이트 웨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그들은 비트 코인 광부들이 비트 코인 블록 보상을 통해 네트워크에 SHA256해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새로 주조된 EOS토큰을 통해 이를 수행하도록 유도됩니다.

그런 다음 사용자(클라이언트)는 고전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블록 생산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연결합니다.

다중 블록 생산자들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중앙 집중식 웹 응용 프로그램과는 달리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분산된 진입 지점이 있다.

ing-source:ce에서 검색됨

This allows for feeless transactions since accounts are only rate-limited based on their EOS token balance.

The more EOS tokens an account holds, the more of their transactions an account can expect to be included in the ledger.

This gasless protocol (compared to Ethereum) allows for the building of rich decentralized consumer applications.

EOS토큰 잔액을 기준으로 계정의 속도만 제한되므로 수수료가 없는 트랜잭션이 가능합니다.

계정이 더 많은 EOS토큰을 보유할수록 계정이 더 많은 트랜잭션을 원장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Ethereum과 비교한)이 Gasless프로토콜은 풍부한 분산형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을 허용한다.

Additionally, the EOS protocol has a special process in which the community votes to allocate EOS tokens to up to 3 “community benefit applications” that directly benefit the EOS network.

An implementation of the Everipedia Network on EOS.IO

software will plan to provide maximal community value and innovation to be successfully considered for one of these three coveted spots.[7]

또한 EOS프로토콜은 커뮤니티에서 EOS토큰을 최대 3개의 "커뮤니티 혜택 응용 프로그램"에 할당하도록 투표하여 EOS네트워크에 직접 이익을 주는 특별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EOS.IO

소프트웨어에 대한 EveripediaNetwork의 구현은 이러한 세가지 원하는 단계 중 하나에 대해 성공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커뮤니티 가치와 혁신을 제공할 계획입니다.[7]

Everipedia Network articles (as well as their histories) will be stored using IPFS protocol nodes incentivized through EOS block producer rewards.

This means that EOS block producers would provide IPFS retrieval of articles to users free of charge but rate limited by the balance of EOS tokens held by the Everipedia Network EOS account.

Since EOS block producers are independent node operators on the EOS network, any block producer can retrieve Everipedia articles to a requesting user.

In this sense,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states or other organizations to easily block access to Everipedia articles as they can do with Wikipedia by blocking access to a centralized server or a DNS recordset (ie: the domain name Wikipedia.org).

In order to block access to Everipedia Network content, actors would have to prevent any TCP/IP interaction and packet exchange between end users and the EOS mainnet entirely as even a single EOS block producer can provide access to Everipedia content.

This task, while theoretically feasible, is substantially more difficult than blocking a single domain and is more akin to attempting to shut down torrent networks by going after all individual torrent seeders - a task that has consistently proven impossible for many well-funded organizations and state actors.

Additionally, it is possible for community members to host any set of articles from their own private IPFS daemon which listens for edits of articles by connecting to the EOS network.

This means that anyone who wishes to host articles (or some subset of articles) can do so from any location or server by running their own IPFS node and light EOS client.

에버리페디아 네트워크 기사(및 그 이력)는 EOS블록 생산자 보상을 통해 유도된 IPFS프로토콜 노드를 사용하여 저장됩니다.

즉, EOS블록 생산자는 IPFS에서 물품 검색을 무료로 제공하지만 EveripediaNetworkEOS계정이 보유한 EOS토큰 잔액에 따라 제한됩니다.

EOS블록 생산자는 EOS네트워크 상의 독립적인 노드 운영자이므로, 모든 블록 생산자는 Everipedia문서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태나 다른 조직이 Everipedia문서에 대한 액세스를 쉽게 차단할 수 없습니다.

즉, 중앙 집중화된 서버 또는 DNS레코드 집합에 대한 액세스를 차단합니다.

Everipedia네트워크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차단하기 위해서, 배우들은 최종 사용자와 EOSMainnet간의 TCP/IP상호 작용과 패킷 교환을 방지해야 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실현 가능하지만, 이 과제는 단일 영역을 차단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고 많은 개별적인 시행자들을 추적하여 댐 네트워크를 폐쇄하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커뮤니티 구성원은 EOS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기사 편집을 수신하는 자체 IPFS데몬의 기사 세트를 호스팅 할 수 있습니다.

즉, 제품(또는 일부 문서의 하위 집합)을 호스팅 하려는 사용자는 자신의 IPFS노드와 가벼운 EOS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어느 위치나 서버에서나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Under the EOS.IO

implementation, an Everipedia “reader” is any individual with an internet connection that can access the EOS main network. Reading

and requesting Everipedia content is planned to be free to all end users and does not require any IQ token balance. Conversely,

an Everipedia “user” is any individual who possesses a functional wallet (an EOS.IO account)

with a valid balance of IQ tokens to propose edits. Users will

sign all their transactions with the associated private key to demonstrate ownership of a valid balance. Using the

EOS.IO account system

allows for various web standards and benefits that are not currently available on other blockchains such as account recovery and human readable usernames. This would essentially

create a seamless user experience similar to using a web application with classical user and account authentication.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leverage upcoming EOS.IO identification and reputation

systems to incorporate into the validation algorithm and edit approval process such that previous edit histories and identities of editors can be measured in the consensus process.

Everipedia"리더"는 EOS메인 네트워크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을 가진 모든 사람입니다.

Everipedia콘텐츠를 읽고 요청하는 것은 모든 최종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될 계획이며 IQ토큰 균형이 필요하지 않다.

반대로 Everipedia"사용자"는 편집을 제안하기 위한 IQ토큰의 유효한 균형을 갖춘 기능성 지갑을 소유한 모든 개인입니다.

사용자는 모든 거래에 관련 개인 키에 서명하여 유효한 잔액의 소유권을 증명합니다.

사용자 계정 시스템을 사용하면 계정 복구 및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사용자 이름과 같은 다른 블록 체인에서 현재 사용할 수 없는 다양한 웹 표준 및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본적으로 일반 사용자 및 계정 인증에 웹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원활한 사용자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또한, 다가오는 제품 식별 및 평판 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증 알고리즘에 통합하고 편집자의 이전 편집 이력 및 ID를 합의 프로세스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승인 프로세스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Curren t internet content businesses are based on the model on the left.

A company is formed which creates a service or platform using rented or bought centralized server hardware.

Users produce content and/or use the service.

The business owners extract value from users, content-producers, and value creators through advertising, subscriptions, and as many means as possible to pay for server and business costs.

The profits are then accrued for investors and stockholders.

A distributed autonomous platform (right) uses token value stores to align the incentives of all participants (content creators, curators, bandwidth).

There are no central stockholders, profit-takers, or rent-seeking behavior since all participants hold the same type of value store in the network.

All participants also directly work toward making each part of the service useful to each class of participant.

Img-sources (partially altered): EOS.io presentation.

retrieved from: youtube.com

현재 인터넷 콘텐츠 사업은 왼쪽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임대 또는 구입한 중앙 집중식 서버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서비스 또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회사를 구성합니다.

사용자는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비즈니스 소유자는 서버 및 비즈니스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많은 수단, 광고, 구독 및 가치 창출자로부터 가치를 추출합니다.

그 다음에 이익은 투자자와 주주들에게 돌아간다.

분산된 자율 플랫폼(오른쪽)은 토큰 가치 저장소를 사용하여 모든 참가자(콘텐츠 작성자, 큐레이터, 대역 폭)의 인센티브를 조정합니다.

모든 참여자들이 네트워크에 동일한 유형의 가치 저장소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 주주들, 이익 추구자 또는 이익 추구 행위는 없다.

또한 모든 참가자는 직접 서비스의 각 부분을 각 참가자 클래스에 유용하게 만드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미지 소스(부분적으로 변경됨): 검색됨:

Database Schema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Collective collaboration requires agreed norms and standards, especially norms in handling the data that is stored, updated, and consumed.

Bitcoin’s unspent transaction output (UTXO) database model is only effective because all network participants agree to keep account values stored in such a structure.

Otherwise, the same security guarantees would not be possible.

공동 작업에는 합의된 표준과 표준, 특히 저장, 업데이트 및 사용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표준이 필요합니다.

모든 네트워크 참가자가 이러한 구조에 저장된 계정 값을 유지하는 데 동의하기 때문에 Bitcoin의 UTF-1트랜잭션 출력(unspenttransactionOutput)데이터베이스 모델만 효과적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동일한 보안 보장은 불가능할 것이다.

The “database schema” refers the structure of on-chain storage in the EOS.IO

blockchain inside of the article module (the associated smart contract). The

database for the Everipedia Network will be a 2 column element that pertains to the current hash of the article state. The

second element is the immediate preceding hash of the previous state of the article which functions as a pointer. This

allows for a tree-like structure of the history of IPFS hashes of the article and allows quick querying of the Everipedia Network database to find the current state of an article in relation to some historical snapshot (as well as any forks or merges). This

is similar to a git protocol tree of all previous commits to a codebase except the work done to be committed is an encyclopedia article or edit. This

schema has two technical guarantees that make it ideal for distributed ledger storage: 1. Querying

for a complete state tree of an article (therefore showing all previous historical edits). 2.

Easy branching and merging of articles while keeping a unified history of previous states.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문서 모듈(관련 스마트 계약)의 내부에 있는.X

블록 체인에 있는 체인에 있는 저장소의 구조를 나타냅니다. Everipedia

Network의 데이터베이스는 문서 상태의 현재 해시와 관련된 2열 요소입니다. 두번째

요소는 포인터로 작동하는 문서의 이전 상태 바로 앞 해시입니다. 이를

통해 IPFS해시의 기록에 대한 트리 모양 구조를 허용하고 Everipedia Network데이터베이스를 신속하게 쿼리 하여 일부 기록 스냅 샷과 관련된 문서의 현재 상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커밋 된 작업이 백과 사전 기사이거나 편집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이전 커밋의 기트 프로토콜 트리와 유사합니다. 이

스키마는 분산 원장 저장에 이상적인 두가지 기술 보증을 가지고 있다. 문서의

전체 상태 트리를 쿼리 하는 중입니다(따라서 이전의 모든 기록 편집 내용 표시). 2.

이전 상태의 통합 기록을 유지하면서 기사를 쉽게 분기 및 병합할 수 있습니다.

An example database of 10 rows is shown below:

10개 행의 예제 데이터베이스가 아래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 [ QmPgLhaXAPYxx9isxGuxnBZA28WoUxhYsiRaPPbMKdvPAm, null], [ QmSRvE5W6WV4KGRwhttumnamJgGGyiaAGYLEaubRgRreP2,

QmPgLhaXAPYxx9isxGuxnBZA28WoUxhYsiRaPPbMKdvPAm ]

[ QmcmBixvVnzrswZ24BbzjbrkTvi4ZMbxZcZpfqjzkxmLYA, null ]

[ QmeAv3LJo4Kre6dR7GQBqjJFztY9YWZD131W5tYGStUcbM, null ],

[ QmXvHQCbvxp3vQm96VmZDBaTX8Aae6vVcoTvVB6QQsMXnM,

QmeAv3LJo4Kre6dR7GQBqjJFztY9YWZD131W5tYGStUcbM ],

[ QmYP7vvmy1MX7x6QDazd8opK4KB2NuhiLGbwBQWgxR552q,

QmXvHQCbvxp3vQm96VmZDBaTX8Aae6vVcoTvVB6QQsMXnM ]

[ QmXoypizjW3WknFiJnKLwHCnL72vedxjQkDDP1mXWo6uco, null ],

[ QmcHn96sJBZY4QaGeDh6vVBDznygqbVCgh7bwHbskxcoaY,

QmeAv3LJo4Kre6dR7GQBqjJFztY9YWZD131W5tYGStUcbM ]

[ QmbtygxuXiQDYn1BWDjsJtHUVYuFzUUV6fdJZg8AL4axVB,

QmSRvE5W6WV4KGRwhttumnamJgGGyiaAGYLEaubRgRreP2]

[ QmYP7vvmy1MX7x6QDazd8opK4KB2NuhiLGbwBQWgxR552q,

QmcHn96sJBZY4QaGeDh6vVBDznygqbVCgh7bwHbskxcoaY ] }

The first element in each tuple marks some current state, while the second element refers to the previous article state.

If the second element is null, this means that the article state has no previous state (meaning the article was just created).

In the example above, rows 1, 3, 4, and 7 depict the creation of a new article with no previous state.

Row 2 simply shows the article in line one being edited.

Row 9 shows the article state in row 2 being edited (now with 3 total edits in its history)

각 튜플의 첫번째 요소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반면 두번째 요소는 이전 문서 상태를 나타냅니다.

두번째 요소가 null이면 문서 상태에 이전 상태가 없음을 의미합니다(문서가 방금 생성되었음을 의미).

위의 예에서 1행, 3행, 4행 및 7행은 이전 상태가 없는 새 기사의 작성을 나타냅니다.

2행은 편집 중인 1행의 기사를 보여 줍니다.

9행은 편집 중인 2행의 문서 상태를 보여 줍니다(이제 3개의 전체 편집 내용 포함).

Line 5 and 8 demonstrate an article of the same state forking into two different states (perhaps edited by two different communities or telling different narratives of the same topic).

Both line 5 and 8 share the previous state of an article created on row 4.

Row 6 shows the article in 5 being edited further but the forked off article in row 8 clearly ignores the change because row 9 depicts an edit made to the forked article.

Row 10 shows the original forked article in row 8 being merged back into the article that it forked from.

The two forked articles are now merged into one again (perhaps due to an edit proposal and community agreement).

5행과 8행은 같은 상태의 기사가 두개의 다른 상태로 나뉘는 것을 보여 줍니다(아마도 두개의 다른 공동체에 의해 편집되거나 동일한 주제의 다름).

5행과 8행 모두 4행에서 작성된 기사의 이전 상태를 공유합니다.

6행은 5에서 추가로 편집 중인 기사를 보여 주지만 9행은 2행 기사에 대한 편집을 나타내므로 8행에서 분기된 기사는 변경 사항을 명확히 무시합니다.

10행은 8행의 원래 갈림길에 있는 기사가 그것이 유래한 기사로 다시 병합되는 것을 보여 준다.

두개의 갈림길에 선 기사는 이제 다시 하나로 통합된다.

While the above structure has many advantages, it has several issues that should be directly addressed.

For example, concurrent edit proposals can potentially cause issues.

If one individual proposes an edit to an article and submits an edit object, then before that object is finalized through consensus, another edit object referencing the same parent hash essentially creates an unintended fork of the article.

A potential way to resolve this issue would be to only allow one pending edit proposal referencing the same parent hash at a time in the queue of pending edits.

위의 구조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직접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몇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동시 편집 제안으로 인해 잠재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 개인이 문서에 대한 편집을 제안하고 해당 개체가 합의를 통해 완료되기 전에 해당 개체를 제출하면 동일한 상위 해시를 참조하는 다른 편집 개체가 기본적으로 문서의 의도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잠재적인 방법은 대기 중인 편집 대기 열에서 동일한 상위 해시를 참조하는 보류 중인 편집 제안을 한번에 하나만 허용하는 것입니다.

Visual schematic of the above database schema showing 4 distinct article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Travis Moore,” “Qajar Dynasty,” and “Barack Obama.”

Each article is hashed.

The first edit of an article (article creation) points to a null parent hash.

Subsequent edits create new content and hence a new hash and point to the article’s immediate previous state.

This forms a tree which makes the article history.

4개의 뚜렷한 기사를 보여 주는 위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시각적 도식:"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 앤젤레스,""트래비스 무어,""카자르 왕조,"그리고"버락 오바마".

문서(문서 작성)의 첫번째 편집은 null상위 해시를 가리킵니다.

이후 편집에서는 새 컨텐츠가 생성되므로 새로운 해시가 생성되어 문서의 이전 상태가 바로 표시됩니다.

이것은 물품의 역사를 만드는 나무를 형성한다.

Article Data Structure

문서 데이터 구조

Articles will be stored as HTML files.

This is because using the HTML document object model allows for high compatibility of possible front end combinations for the data which is retrieved from the network.

By using HTML, any developer can create a front end to display articles in customized manners, submit edits, and analyze data inside the document.

Designated HTML class attributes will be used to mark specific portions of articles so that all front end software can easily detect standard sections of an article.

Such classes could include “infobox,” “citation,” or “title.”

A data structure standard should be decided on by community members and early adopters of the technology which should include linking schemes and hyperlink rules (such as whether only internal links to the database can be embedded in articles etc). Although the standards can, in theory, be changed with a governance vote, practical application of such a data-structure change is highly cumbersome as some changes are not backwards compatible and would need to be retroactively applied to all older articles within the network.

문서는 HTML파일로 저장됩니다.

이는 HTML문서 오브젝트 모델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검색되는 데이터에 대해 가능한 프런트 엔드 조합을 높게 호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ML을 사용하여 개발자는 문서 내에서 문서를 사용자 정의된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집을 제출하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모든 프런트 엔드 소프트웨어가 문서의 표준 섹션을 쉽게 탐지할 수 있도록 문서의 특정 부분을 표시하는 데 지정된 HTML클래스 속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세분류는 "정보 상자","인용"또는"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표준이 관리 투표로 변경될 수 있지만, 일부 변경 사항은 이전의 모든 네트워크 문서에 소급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 구조 변경의 실제 적용은 매우 번거롭다.

Finally, within the HTML file, there will be one designated JSON-LD class for linked data to the object topic of the article.

This allows easy retrievability of key-value descriptors from any article using API endpoints and allows bots to add information easily to the JSON-LD class.

JSON-LD is used to build rich graph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and is currently used in web pages to describ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webpage’s topic and content.

Having a robust data class for building rich graph relationships between topics within the article helps create a meta-network layer which can be queried for rich data by machines, servic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마지막으로 HTML파일 내에는 문서의 오브젝트 항목에 연결된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JSON- 굵은 클래스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API끝점을 사용하는 모든 문서의 키 값 설명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으며, 상자를 사용하여 JSON- 굵은 클래스에 정보를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JSON-L은 객체 간의 풍부한 그래프 관계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며, 현재 웹 페이지에서 웹 페이지의 주제와 내용 사이의 의미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사 내의 주제 사이에 풍부한 그래프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강력한 데이터 클래스가 있으면 기계, 서비스 및 인공 지능 훈련을 통해 풍부한 데이터를 쿼리 할 수 있는 메타 네트워크 계층을 만듭니다.

Each article is an HTML file that can be served from IPFS nodes or EOS.IO

storage across many jurisdictions and participants. CSS

and styling is applied on the front end UX layer and can be customized by website owners that serve the content and compete with other front end services. The

article content, metadata, and class objects are edited by network participants and require token holder consensus.

각 문서는 IPFS노드 또는 많은 관할 지역 및 참여자들 간에 IPFS스토리지에서 제공될 수 있는 HTML파일입니다.

CSS와 스타일링은 프런트 엔드 UX레이어에 적용되며 콘텐츠를 제공하고 다른 프런트 엔드 서비스와 경쟁하는 웹 사이트 소유자에 의해 사용자 정의될 수 있다.

문서 내용, 메타 데이터 및 클래스 개체는 네트워크 참가자가 편집하며 토큰 홀더 합의가 필요합니다.

Blockchain Agnosticism

This whitepaper discusses the implementation of the Everipedia Network using EOS.IO

software. It

is entirely possible for the three modules discussed above to be built and implemented using differen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while preserving the fundamental substance and utility proposed. Additionally,

it is entirely possible to build the three modules using differen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which interact through cross-blockchain transfers of value and data. One

example of such an implementation would be building an entire blockchain in a proof of stake system using the Ethereum Plasma Framework. IQ

would act as the staking token for production and proposition of blocks.[5][6] Another example of cross-chain implementation could be building the governance module using the upcoming Tezos network since Tezos software is bundled with sophisticated self-governance features to be used for its own network rule-making. Additionally,

the storage of article blobs through IPFS nodes can be incentivized using different implementations, such as Filecoin, in addition to EOS.IO Storage

(like discussed above).

이 백서에서는 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Everipedia Network의 구현에 대해 설명합니다.

위에서 논의된 세개의 모듈은 제안된 기본적인 물질과 효용을 보존하면서 다른 분산 원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축되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치와 데이터의 교차 블록 이동을 통해 상호 작용하는 서로 다른 분산 원장 기술을 사용하여 세개의 모듈을 구축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그러한 구현의 한가지 예는 Ethereum Plasma Framework를 사용하여 지분 증명 시스템에 전체 블록 체인을 구축하는 것이다.

IQ는 생산 및 블록 제안을 위한 고정 토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또한 IPFS노드를 통한 문서 BLOB스토리지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Filecoin과 같은 다양한 구현을 사용하여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Wikipedia started with 1990s server hardware and architecture but upgraded to caching infrastructure and state of the art data centers.

The Everipedia Network is a long term self-sustainable project that has the goal of creating the first global decentralized knowledge base.

Given that goal, the network should specifically use technology that has long term potential and developers should keep open minds towards future scaling solutions.

This allows network developers and maintainers to make bets on what will be valuable blockchain technology today and in the foreseeable future, but allows building an expandable and platform agnostic network which can use multiple breakthrough technologies to function efficiently.

위키 피디아는 1990년대 서버 하드웨어와 아키텍처에서 시작했지만 인프라 및 아트 데이터 센터의 캐싱으로 업그레이드했다.

Everipedia Network는 최초의 세계적인 분산형 지식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기적인 자체 지원 프로젝트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감안할 때, 네트워크는 장기적으로 잠재력이 있는 기술을 구체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개발자들은 미래의 확장 솔루션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개발자와 유지 관리자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가치 있는 블록 체인 기술에 투자할 수 있지만 여러가지 혁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플랫폼 독립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Bounties, Services, Bots, Private Edits, Marketplaces, and Network Development

경계, 서비스, 상자, 개인 편집, 마켓 플레이스 및 네트워크 개발

The Everipedia Network is a light-protocol, meaning that it is agnostic to features and services built on its underlying infrastructure.

For this reason, the network does not come directly bundled with services hard-coded such as classical advertising or subscriptions.

Instead, the network imposes a nominal transaction fee on all token interactions which is burnt (governance based transactions and messages do not accrue a fee).

This creates a base layer for an ecosystem of services, bounty/freelance work, and marketplaces for citation verification services and other novel uses.

In this way, the Everipedia Network could support established media organizations such as the Wikimedia Foundation (Wikipedia), CNN, and NYTimes taking part in the editing and verification process by creating their own services and organization accounts on the network.

This in effect creates an ecosystem where participants are not only encouraged to create the most reliable content but also encouraged to create the best tools and services for the creation of content.

This also creates a large volume of transactions which supplies sizable transaction fees which are burnt.

Everipedia Network는 광 프로토콜로, 기반 인프라에 구축된 기능과 서비스에 구애 받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네트워크는 고전적인 광고나 가입과 같이 하드 코딩된 서비스와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대신에, 네트워크는 불에 탄 모든 토큰 상호 작용에 대해 명목 거래 수수료를 부과한다.

이는 서비스 생태계, 경계 및 경계 검증 서비스 및 기타 새로운 용도를 위한 시장을 위한 기본 계층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Everipedia Network는 위키 미디어 재단(위키 피디아), CNN및 뉴욕 타임즈와 같은 설립된 미디어 조직이 자체적인 네트워크 서비스 및 서비스를 구축하여 계정을 편집 및 검증합니다.

이는 실질적으로 참가자들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를 만들도록 장려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 생성을 위한 최고의 도구와 서비스를 만들도록 장려하는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이는 또한 상당한 양의 거래 수수료를 연소시키는 대량의 거래를 창출한다.

Additionally, in future updates, it would be possible to use zero knowledge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 proofs (zk-SNARKs) to publish state changes to articles with complete privacy.

This has a twofold effect: 1.) Individuals can propose content without being publicly identified in the ledger.

2.) Curators can vote for or against the proposal without being publicly identified in the ledger.

Implementation of zk-SNARKs (or other zero knowledge proofs) would be done in the same way that private transaction proofs are performed in z.cash and likely to be implemented in Ethereum.[8] To properly use such technology, the base blockchain used for the network would likely need to support zero knowledge proofs in some capacity so that entire SNARK implementations do not have to be “hand-rolled” by the Everipedia Network’s contract code itself.

또한, 향후 업데이트에서는 지식 증명(.

zk AR)에 대한 제로 지식 간결한 비인간적 주장을 사용하여 완전한 프라이버시를 가진 기사에 상태 변경 사항을 게시할 수 있다.

이것은 두가지 효과가 있다:1)개인은 원장에서 공개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콘텐츠를 제안할 수 있다.

2.)변경 자는 원장에서 공개적으로 확인하지 않고 제안서에 찬성 또는 반대 투표를 할 수 있다.

z.cash에서 개인 트랜잭션 증명을 수행하지 않고 이러한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0"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1분기(또는 기타 제로 지식 증명)구현

Conclusion

결론

The Everipedia network uses IQ tokens, which track the stakes of users and act as incentive rewards for content creators and curators.

The network uses a three module system (token, governance, and article) to create a self-sustaining database of encyclopedia articles.

The structure of content is uniform and standardized so that it is easily analyzed, consumable, and improved upon by services, front-end websites, AI, and bots.

The database schema allows all the technical guarantees of prior wiki software (such as historical snapshot of all article states) as well as new functions not possible before (such as distributed, real-time hosting and scalable forking & merging of articles)

Everipedia Network는 사용자의 이익을 추적하고 콘텐츠 작성자와 큐레이터에게 인센티브 보상으로 작용하는 IQ토큰을 사용합니다.

네트워크는 3개의 모듈 시스템(토큰, 거버넌스 및 기사)을 사용하여 백과 사전 문서의 자가 보존 데이터베이스를 만듭니다.

균일하고 표준화된 콘텐츠 구조로 서비스, 프런트 엔드 웹 사이트, AI, 박스 등을 통해 쉽게 분석, 소비, 개선이 가능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이전 위키 소프트웨어(모든 문서 상태의 기록 스냅 샷 등)와 이전에 불가능했던 새로운 기능(예:분산, 실시간 호스팅, 확장 가능한 문서 작성 및 병합)의 모든 기술적 보증을 제공합니다.

Innovation in the encyclopedia industry has stagnated in the past 10 years.

Creating a synchronized, collaborative encyclopedia database accessible by all applications on the internet will generate the network effects required to re-ignite growth and innovation in the documenting of knowledge.

백과 사전 산업의 혁신은 지난 10년간 정체되어 왔다.

인터넷 상의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동기화된 협업 백과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은 지식 문서 화의 성장과 혁신을 다시 시작하는 데 필요한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할 것이다.

References

[1]
Citation Linkgithub.com
Jun 21, 2018, 1:36 PM
[2]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image1
Jun 21, 2018, 1:50 PM
[3]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image2
Jun 21, 2018, 1:51 PM
[4]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image3
Jun 21, 2018, 1:54 PM
[5]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image4
Jun 21, 2018, 1:54 PM
[6]
Citation Linkywqaugeunhowzrcj.public.blob.vercel-storage.comimage5
Jun 21, 2018, 1:55 PM